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강제집행 신청 부터 절차, 내 물건이 되기 까지 소요 기간

글 개요 법원 경매를 통한 부동산 투자는 문제가 있는 물건을 권리분석을 통해 낙찰을 받고 잔금을 납부하는 행정절차 이후에 명도를 통해서 비로소 사용수익할 수 있다. 명도를 최대한 원활하게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글을 통해 알았을 것이다. 명도라는 것은 사는 사람 그것이 임차인일 수도 채무자일 수도 있다. 관계와 상관없이 우리는 빠르게 해당 물건을 사용수익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그를 통한 수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협의와 인도명령신청 등의 행정수단을 동원하더라도 명도가 어려운 상황이 되면 오늘 알아볼 '강제집행' 절차까지 갈 수 밖에 없다. 공매든 경매든 결국 명도에 관한 협의가 되지 않는다면 '강제집행'인 것이다. 오늘은 '강제집행'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신청하고 진행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

카테고리 없음 2023. 5. 11. 17:47
잔금 납부일 점유이전금지가처분 반드시 신청! 신청 목적 부터 방법까지 명도를 위한 준비

글 개요 지난 글에서 원활한 명도를 위해 인도명령신청에 대해 알아보았다. 명도는 사람과의 관계이기 때문에 확정된 문서나 계약이 아닌 이상 그 결과를 단정 지을 수 없다. 구두로 협의 완료 했다 해서 그것이 원활한 명도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법을 모르고서 마냥 버티는 점유자도 있을 수 있지만, 알기 때문에 이사비 명목으로 많은 금액을 원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법원경매에서 할 수 있는 행정적 수단은 신청을 해놓고 이후 점유자와 만남을 추천한다. 지난 글에서 알아본 인도명령 신청과 더불어 잔금일날 신청해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부동산점유이전금지가처분"이다. 점유이전금지가처분이란 무엇인가 알아보고 왜 해야하는지 이후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 차 1. 부동산점유이전금지가처분 ..

카테고리 없음 2023. 5. 9. 12:17
잔금 납부할 때 인도명령신청 꼭 해야 하는 이유, 신청 방법 까지

글 개요 잔금을 납부하고 소유권 이전을 하게 되더라도 거주자(임차인, 점유자)가 있을 경우 우리는 '명도'라는 행위를 통해 해당 거주자를 퇴거시키고 공실로 만들어야만 비로소 사용 수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명도라는 것은 사람과 연관돼있는 것이기 때문에 감정적일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쉽게 끝날 수도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 우위는 낙찰자가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했었다. 우리는 시세보다 저렴하게 물건을 취득했기 때문에 얼마든지 명도에 대해 유연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잔금 납부일 명도에 대해 구두로 이야기를 했던 거주자와 상황이 끝난 상황이든 거주자가 불분명한 상황이든 이용해야 하는 제도가 있다. 그것이 바로 오늘 알아볼 '인도명령'제도이다. 공매와 달리 법원 경매는 이 인도명령을 이용해..

카테고리 없음 2023. 5. 8. 14:23
내용증명 작성 부터 송부까지 잔금 납부 전 보내야 하는 이유

글 개요 법원 경매는 민사집행법을 따라간다. 그렇기 때문에 각 종 소송이나 판결문등의 집행권원등 법률적인 용어와 절차들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지난 사건 열람기록을 통해 전체적인 물건에 대한 경매에 나오기까지의 과정 숨은 기록과 임차인들의 정보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사실을 아는 게 뭐가 중요한가 생각할 수 있지만 지난 글에서 봤던 것처럼 부동산의 가치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그 사람과의 관계성 또는 채무자의 정보 또한 권리분석에 필요한 부분이며, 나아가서는 전후 사건을 알게 됨으로써 현재 임차인에 대한 정보를 알아볼 수도 있다. 각종 정보등과 임장을 통해 권리분석과 임차인에 대한 사항을 확정 지었다면 후에 임차인의 명도를 해야 한다. 저번글에서는 명도에 대한 전체적인 순서 절차..

카테고리 없음 2023. 5. 4. 13:04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