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개요 법원 경매에 나온 부동산에 대해 분석을 할 때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것이 근저당이다. 근저당이란 말은 많이 들어 봤다. 그 뜻은 잘 모른다. 근저당을 알려면 저당에 대해 알아야 한다. 실제 투자 시에는 저당이 안 나오고 근저당만 나온다. 저당과 근저당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다. 그리고 그 둘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겠다. 저당(근저당)은 법원 경매를 통한 투자 외에도 부동산 매매 시에도 꼭 알아야 할 개념이다. 많은 부동산에 설정이 되어 있다. 목 차 1. 저당권 2. 근저당권 3. 저당권과 근저당권의 차이 1. 저당권 저당권은 채무자 또는 제삼자가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의 점유를 이전하지 않고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대해 다른 채권자보다 자기 채권의 우선 변재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

글 개요 법원 경매를 하다 보면, 토지만 경매로 나오고 건물은 매각 제외인 경우가 있다. 그와 반대로 건물은 경매로 나오고 토지는 매각 물건에서 제외된 경우도 있다. 이런 물건들은 지상권과 관련이 있다. 실제 법원 경매에서는 지상권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대신에 법적지상권이 쓰인다. 지상권은 어떤 것이고, 왜 실무에서는 쓰이지 않는지 알아보겠다. 또한 법적지상권은 무엇이고, 성립되는 경우와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다. 법적지상권은 성립여부에 따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다르다. 각 각의 상황에 맞는 출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법적지상권과 성립여부와 상관없이 좋은 부동산을 낮은 가격에 매입하여 가치 상승을 통해 매도하는 것이 투자의 목적이다. 법원 경매에서는 인수되는 권리등이 있는 부동산..

글 개요 지난 글에서는 일반적인 도시지역에 대해 알아 보았다. 도시지역의 경우 녹지지역을 제외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 건축등이 제한없이 대부분 가능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구분 중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에 대해 정의한다. 실제 법원 경매를 통한 투자 시 수익성은 적은 지역이다. 개발, 건축에 제한이 있다. 수십년이 지나도 개발을 할 수 없는 지역도 있다. 투자 가치로써 피해야 할 지역에 대해서 알게 될 것이다. 반면에 매우 저렴한 가격에 토지를 매입 할 수 있다. 향후 도로 개발등으로 인하여 높은 수익율이 기대 할 수 있다. 목 차 1. 관리지역 1-1 보전관리지역 1-2 생산관리지역 1-3 계획관리지역 2. 농림지역 3. 자연환경보전지역 1. 관리지역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

글 개요 법원 경매를 하다 보면 필수 적으로 용도 지역을 알아야 된다. 해당 부동산의 용도 지역이 주택만 지을 수 있는지 공장도 가능한지 몇 층까지 지을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용도 지역은 도시계획에 따라서 지역을 구분하고 지역에서 가능한 산업이나 건물을 지정한 것을 말한다. 부동산 아무리 좋아도 개발이 불가한 부동산은 투자로써는 가치가 없다. 용도지역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용도지역에 따른 용적률과 건폐율 그리고 가능한 산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시계획에 따른 토지 분류는 용도지역 외에도 용도지구, 용도구역으로도 나누어진다. 목 차 1. 도시지역 1-1 주거지역 1-2 상업지역 1-3 공업지역 1-4 녹지지역 1. 도시지역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